정부는 2019년 고용 동향 고용지표를
발표 하였습니다.
오늘은 정부에서 발표한 내용을
펙트 체크 해 보겠습니다.
자세한 사항 정부합동 브리핑 참조

✔지난해 12월 취업자 수 51만6천명 증가 2018년 이후 사상 최고로 늘었습니다.
✔64개월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세 보여 주고 있습니다.
✔12월 고용, 3대 고용지표 뚜렷한 개선세 한층 강화된 모습을 보였다 취업자 수51만 6000명 증가
✔고용률…15세 이상 0.7%, 15~64세 0.6% 상승하여 역대 최고 수준 보였다
✔40대 제외한 모든 연령대 고용률 상승세
✔30대 취업자 수, 27개월만에 증가 전환
✔생산가능연령(15~64세) 인구 3만1천명 감소…취업자 20만8천명 증가 고용 개선 견인
✔고령층 실업자 5개월 연속 감소세, 실업률 3.4% 보합수준
✔12월 상용직, 64만1천명 증가…
2013년 이래 최고 증가폭
✔임금 근로자 중 상용직 비중 70.4% '역대 최고치' 기록
✔고용보험 가입자 수·청년고용 개선 흐름 지속되는 모습이다
✔지난해, 고용 뚜렷한 개선 흐름 '일자리 반등의 해'
✔취업자 증가, 고용률, 실업 등 3대 고용지표 모두 개선
✔2019년 취업자 수 30만1천명 증가폭 기록 하며 큰 폭의 반등 폭을 실현 하였다
✔저임금 근로자 비중, 최초로 20% 미만 기록
✔OECD 최고수준 장시간 근로 관행 개선
✔상용직 근로자 비중 69.5%
✔피보험자 규모 51만명 증가 '최대폭'
✔40대, 주력산업 '제조업' 부진
✔인구 증가 규모 20~30만명대로 크게 줄어
✔만 60세 도달인구, 연간 90만명 이상으로 확대 전망
✔노인빈곤율 OECD 최고수준
향후 정책 방향
✔인구, 산업, 일자리 등 구조적 변화 가시화
✔자영업 구조조정 확대
✔온라인 쇼핑 비중 급격히 상승...골목상권
어려움 가중
✔민간에서 새로운 양질의 일자리 창출
✔민간, 민자, 공공 3대분야 100조원 투자 발굴
✔데이터 3법 국회 통과...신산업창출 등 새로운
전환점
✔3대 신산업 중점 투자...미래 먹거리 산업 육성
✔소상공인 위한 온라인 진출 촉진 등 지원
인구가 감소하고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
있는 요즘정부에서도 한발 앞서 정책 대응하는 모습입니다.
다음 세대가 취업난에 고충이 없도록
정부에서 좋은 정책 방향으로 이어 갔으면 좋겠습니다.
'사회 문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성공을 부르는 마음가짐 "간절함" (0) | 2020.04.21 |
---|---|
백만장자 '브라이언트레이시'의 성공비결 7가지 비결 (0) | 2020.04.20 |
부동산 전자계약 혜택 "부동산 투자 알면 힘이 됩니다" (0) | 2020.04.17 |
코로나19 정부 브리핑 정부대처 방안? (0) | 2020.02.24 |
영어 공부하는 방법 빨간모자 신용하 세바시 강연 (0) | 2020.01.31 |
댓글